본문 바로가기

이무기가 쓴 칼럼/마감후

마감후9/스웨덴마저 점령한 反이민 광풍


지난 19일 실시된 스웨덴 총선의 특징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우파연합의 재집권 성공과 반(反)이민주의를 기치로 내건 스웨덴민주당(SD)의 사상 첫 의회 진출이다. 우파연합의 재집권도 관심거리였지만 많은 해외 언론은 후자를 주목했다. 유럽을 휩쓸고 있는 반이민 광풍에 스웨덴도 편승했다는 평이 주를 이뤘다. SD는 그 이름과 달리 신나치주의를 지지하는 인종차별주의자 정당이다. 이번 총선에서 SD는 5.7%를 득표해 20석을 차지했다. 1988년 창당 이래 총선에서 변변한 성적을 거두지 못해온 SD의 돌풍은 ‘스웨덴판 선거혁명’이라 부를 만하다. 북유럽 복지모델과 외국인에 대한 관대함의 대명사인 스웨덴마저 반이민 정서의 포로가 된 이유는 무엇일까.


영국 일간 가디언의 현지 르포기사에서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신문은 SD 선거혁명의 진원지인 스웨덴 제3의 도시 말뫼를 찾아서 그 원인을 추적했다. 덴마크 코펜하겐과 스웨덴을 이어주는 관문인 말뫼는 스웨덴 복지모델을 강화해온 사회민주당의 보루였다. 그러나 SD가 이곳에서 전국보다 훨씬 높은 두자릿수 지지율을 기록하면서 말뫼의 옛 명성은 땅에 떨어졌다. 말뫼의 전통 사민당 지지자들이 쏟아내는 이민자에 대한 불평과 불만은 현 이민정책에 대한 인내심이 한계에 다다랐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국경 없는 캠프’의 활동가들이 지난 10월 3일, 반 이민정책을 규탄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제공)


말뫼 외곽에 사는 마리아(66)는 사민당의 진성 지지자였다. 구내매점에서 일하다 은퇴한 그는 선거 때마다 사민당을 밀었다. 하지만 이번은 달랐다. 사민당을 버리고 SD를 택했다. 마리아는 스스로 인종주의자가 아니라고 말한다. 불가리아 출신 남편과 40년을 살아온 그다. 그러나 이민자들이 스웨덴 문화에 동화하지 않는 데는 불만이다. 그는 거리에 넘쳐나는 이민자들을 베짱이처럼 일하지 않고 과실만 빼먹는 기생충으로 인식하고 있다. 초등학교에서 7살짜리 학생들에게 스웨덴어를 가르치는 세실리아 할스트룀도 비슷한 생각을 갖고 있다. 다문화주의자임을 자처하는 그는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 21명 모두가 이민자 자녀인 점을 불평한다. 그는 차제에 현 이민정책의 속도를 늦출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택시회사를 운영하는 익명의 사민당 지지자도 마찬가지다. 그는 “아프리카 사람들은 스웨덴이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지만 여기에 오면 일을 하지 않아도 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토로했다. 다음 선거에서 SD를 지지할지 모른다는 속내도 털어놨다.

외국인에 관대한 이민정책은 스웨덴의 자랑이자 자부심이었다. 2006년 사민당 중심의 중도좌파 정권을 무너뜨리고 집권한 우파연합도 부유세를 폐지하고 실업수당을 줄이는 등 복지정책을 축소했지만 이민정책에는 손대지 않았다. 하지만 그 결과가 지금 맞고 있는 대규모 이민 유입에 따른 역풍이다. 인구 900만명인 스웨덴에 유입되는 이민자는 매년 10만명에 달한다. 인구 30만명인 말뫼엔 8만명의 이민자가 산다. 4명 중 1명꼴이다.

유럽 국가들이 이민 장벽을 높이는 이유는 노동력 확보와 사회통합 간 부조화라는 이민정책의 딜레마 때문이다. 고령화 사회에서 젊은 노동력을 확보하는 데는 이민 유입이 최선의 방책이지만 불가피한 사회갈등을 낳는다는 데 고민이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도 반 이민 현상의 본질은 이민정책 자체가 아닌 이민자 통합 실패에 있다고 보지만 아직까지 적절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때 복지모델의 전범을 제시한 스웨덴이 이민정책의 새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지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